안녕하세요. 박학다식 골뒹입니다. 2023년 최저임금이 5% 인상된 9620원에 결정이 되었는데요 이대로라면 2024년 최저임금은 1만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합니다. 오늘은 2024년 최저임금 만원 돌파 근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- 목 차 -
2023년 최저임금 산정기준
2024년 최저임금 1만 원 돌파 기준
산출기준의 변수(물가상승률)
결론
2023년 최저임금 산정기준
2023년 최저임금은 5% 인상된 9620원입니다.
이것에 대한 근거는
- 경제성장률 : 2.7%
- 물가상승률 : 4.5%
- 취업자 증가율 : 2.2%
최저임금 위원회 공익위원이 제시한 산출근거를 보면
= 경제성장률 + 물가상승률 - 취업자 증가율
= 5.0%입니다.
2024년 최저임금 1만 원 돌파 기준
2023년을 근거로 산정해 보면
정부가 내놓은 수치로 전망이 가능합니다.
- 경제성장률 : 2.5%
- 물가상승률 : 3.0%
- 취업자 증가율 : 1% 미만
이기준을 산출식에 대입하면 인상률은 5% 정도가 될 것입니다.
따라서 2023년 9620원에 5%의 인상률을 반영하면
2024년 최저임금은 10,100원 정도로 산출이 됩니다.
산출기준의 변수(물가상승률)
여기서 변수가 있습니다.
경제성장률이야 크게 차이가 나지 않겠지만
현재 물가상승률은 이야기가 달라집니다.
- 코로나의 장기화
-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
- 유가 폭등
으로 인하여 현재도 물가상승률은 전망치 3.0%를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.
결 론
이와 같은 이유로 볼 때 2024년 최저임금은 당연히 1만 원이 넘을 것이며
만약 물가상승률이 예상되는 3.0%보다 높을 경우
최저임금은 예상되는 10,100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.
따라서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한다면 최저임금이 올라감에 따른 투자 축소로 2024년 경제전망도 어두울 것으로 보입니다.
이상으로 2024년 최저임금 1만 원 돌파에 대한 근거와 기준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임금이 오늘 것은 좋지만 그보다는 물가가 잡히는 게 더욱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
감사합니다.^^
2023 증여세 면제한도 미성년자 오천만 원, 자녀 1억 원 개정안 및 시기, 절세 방법 정리
'금융 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도상환수수료 면제 (1년) 은행별 시행시기 및 대상 정리 (0) | 2022.12.28 |
---|---|
러브버그 발생 원인, 습성과 제거방법 및 관련주 정리 (0) | 2022.07.03 |
2023 최저임금(시급) 9620원 확정 월급여 200만원 돌파,최저임금 모의계산기 정리 (0) | 2022.06.30 |
쏘카 상장, IPO, 주관사 ,공모가,청약일 정리 (0) | 2022.06.25 |
원숭이두창(천연두) 원인,치사율, 감염경로 및 관련주 정리 (0) | 2022.06.2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