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박학다식 골뒹입니다.오늘은 다시 유행하고 있는 스텔스 오미크론의 증상및 오미크론과의 차이점에 대하여알아보도록 하겟습니다.
- 목 차 -
스텔스 오미크론 유래
스텔스 오미크론 감염률 및 검출률
증상
대처방법
스텔스 오미크론 유래
이름의 유래
스텔스(stealth)’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검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.
- 일반적인 국가에서는 PCR 검사에서 ‘S 유전자 표적 실패(SGTF)’를 기준으로 확진 여부를 확인하는데, 스텔스 오미크론은 이 기준이 되는 ‘SGTF’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.
-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보완한 PCR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검출을 놓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.
- 이 때문에 국내에서는 ‘스텔스'라는 말을 쓰지 말자는 의견도 나옵니다.
스텔스 오미크론의 감염율
스텔스 오미크론의 감염률
오미크론의 30%정도가 높습니다.
스켈스 오미크론의 검출률은
- 지난주 기준 56.3%이며 이제는 우세종이 되었습니다.
- 스텔스 오미크론은 오미크론'BA.1' 하위 변이인 'BA.2'로 분류합니다..
- 지난 25일 세계보건기구(WHO)의 발표에 따르면, 최근 한달간 발생된 신규 감염의 86.5%가 이에 해당한다.
증상
대표적인 증상
- 목의 이물감
- 발진과 두드러기
- 인후통
- 발열
- 피로감과 근육통
- 기침
- 구토와 설사
- 콧물 코막힘
- 후각‧미각 둔화
- 이 밖에도 복통과 메스꺼움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.
실제 오미크론과의 증상차이는 크지 않습니다.
대처방법
대처방법으로는 충분한 수분섭취와 휴식 이 필요합니다.
경증 증상은 감기약, 해열제, 소화제 등 증상에 맞는 일반약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.
하지만 고열이 72시간 지속되거나, 호흡이 어려워지는 등의 중증 증상이 나타나면 보건소에 신고하고 입원치료를 받아야 한다.
이상으로 스텔스 오미크론의 증상및 오미크론과의 차이점에 대하여알아보았는데요 빨리 코로나로 부터 벗어나고 시ㅍ습니다. 감사합니다.^^
오미크론(코로나) 증상,자가격리기준,재택치료,생활지원비 변경 총정리(3월14일)
코로나 19 가족돌봄휴가(무급) 긴급지원금 대상,제출서류,신청방법 및 지급일정 정리
댓글